예측 불가능한 순간에 찾아오는 급작스러운 변의는 일상생활을 마비시키는 비상 상황입니다. 특히 운전 중이나 회의 중처럼 화장실을 즉시 이용할 수 없을 때, 이 위기를 현명하게 대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때 다음과 같은 방법을 써볼 수 있습니다. 이 전략은 잘만 활용하면 매우 효과적이어서 화장실을 찾거나, 변을 볼만한 상황이 오기까지 10분 이상 배변을 늦출 수 있습니다.
1. 배변 위기의 골든 타임: 항문관 진입 전 단계
우리 몸의 배변 메커니즘을 이해하면, 대변을 참을 수 있는 '골든 타임'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 내괄약근은 통제 불가: 항문 안쪽에 위치한 내괄약근은 우리의 의지와 무관하게 자율신경계에 의해 조절됩니다. 직장에 변이 차서 압력이 높아지면 이 근육은 이완되면서 변이 항문관으로 내려오도록 길을 열어줍니다.
- 외괄약근의 최후 방어: 외괄약근은 내괄약근과 항문 전체를 감싸고 있는데, 우리가 의식적으로 힘을 주어 조절할 수 있는 수의근입니다. 이 근육이야말로 위기 상황에서 우리가 기댈 수 있는 유일한 방어 수단입니다.
위기의 시작은 변이 내괄약근을 통과하여 길이가 약 2.5cm에서 5cm에 달하는 항문관으로 진입하면서 부터 시작합니다. 일단 변이 항문에 진입하여 깊숙이 내려오고, 특히 중간 정도 이상 지나서 마지막 항문 출구 근처에 와 있다면 이제는 외괄약근을 아무리 강하게 조여도 그 압력을 오래 막아내지 못하고 대변은 결국 밀고 나옵니다. 따라서, 변이 항문관 자체에 진입을 전혀 못하고 직장에만 머무르도록 유지시키는 것이 절박한 배변 욕구를 늦추는 가장 핵심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
2. 항문관 진입을 막는 '지속적 조임' 기술
변이 직장에 차있고, 5분 이내에 변을 봐야할 수 있겠다는 예비 신호가 감지되는데, 곧 화장실을 갈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본격적인 위기가 오기 5분 전이라고 느낄 때, 즉시 항문을 최대한 강하게 조이는 행위에 집중합니다.
- 지속적인 강력 수축: 대변이 본격적으로 마렵기 전에 괄약근을 강하고 지속적으로 조이면 직장에서 대기 중이던 변이 항문관으로 내려오려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대변이 항문의 초입 부분으로 머리를 밀고 들어오지 못하도록, 아예 진입을 못하게 막아버리는 것입니다.
- 간헐적 이완 후 재 수축: 항문을 최대한 강하게 지속적으로 조이고 있다 보면 근육에 힘이 빠져서 오래 유지하기가 어렵습니다. 이때는 2~3초간 항문의 힘을 잠시 힘을 풀었다가(수 초) 다시 또 강하게 조이고 있는 식으로 반복합니다. 이렇게 잠시 힘을 풀어도 변은 그 사이에 항문관으로 내려오지 못하고 있는 상태가 됩니다.
- 항문을 최대 힘으로 조여야 합니다: 이때 항문을 약하게 조이면 항문은 출구 부위에만 조이는 힘을 발생시키므로 변이 항문관으로 진입하는 것을 막지 못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힘을 점점 더 세게 해서 조이면 항문 전체 길이에 걸쳐 수축이 일어나므로 항문 위쪽에도 조이는 힘이 가해지고, 결국 직장과 항문 사이의 입구를 닫아버리는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입니다.
- 변의 역행 유도: 이렇게 복근까지 수축할 정도로 깊게 항문을 수축하면 항문 통로 안으로 이미 진입한 대변도 다시 직장으로 밀어 올려버릴 수 있습니다. 변이 직장으로 되돌아가면, 즉 대변이 뒤로 후퇴하게 되면 절박한 변의가 곧 다가올 가능성은 더 멀어지는 것입니다. 이러면 마음도 좀 더 안심이 됩니다.
- 특히 대장이 변을 내보내려고 강하게 수축할 때 항문을 더 강하게 조여야 합니다. 우리의 장은 소장과 대장이 각자의 리듬에 의해서 수축과 이완을 반복합니다. 대장은 곧 변을 내보낼 시점이 되었으니 주기적으로 강하게 수축하면서 변을 밀어려 합니다. 우리가 변이 마려울 때 잘 관찰해 보면 대장이 수십 초 간격으로 수축하는 리듬을 느낄 수 있습니다. 대장이 변을 밀어내려고 수축하는 것을 느낄 때 우리가 잠시 쉬고 있으면 직장의 변이 드디어 항문관으로 진입을 성공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대장이 수축하는 것 같은 순간에는 항문에 더 강하게 힘을 주어서 대변의 항문 진입을 막는 것입니다.
- 일단 항문관으로 진입해서 중간 이상 내려온 변은 아무리 참아도 결국 밀고 나올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변이 항문관으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항문을 최대한 강하고, 지속적으로 조이며, 힘이 빠지면 2~3초 쉬고 다시 힘을 주는 식으로 조이는 것이 핵심입니다.
3. 현실적 한계와 현명한 대비책
물론 이 방법으로 변을 수십 분 동안 완전히 참아내기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변은 직장에 계속 쌓여 압력이 점점 높아질 것이며, 힘을 잠시라도 풀면 그 틈을 타 변이 다시 항문관으로 진입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조임' 전략은 시간을 버는 수단일 뿐, 최대한 신속하게 화장실을 찾아 배변을 해결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비상 대비책 제안
만약 출퇴근길처럼 자주 막히고 화장실 이용이 극히 어려운 환경에 자주 놓이는 사람이라면, 최악의 사태를 대비한 심리적, 물리적 대비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성인용 기저귀 비치: 수년에 한번 있을까 말까 한 초응급 상황을 대비하여 성인용 기저귀를 차에 비치해 두는 것은 해볼만한 대비책이 될 수 있습니다. 이는 실수가 발생할지도 모른다는 '응급 사태에 대한 두려움' 자체를 해소시켜 심리적인 안정감을 줍니다. 또한 이로 인해 오히려 변을 더 잘 참아낼 수도 있을 것입니다. 차 안에서 기저귀를 바닥에 두고 변을 본 후 밀봉하여 처리하면 위기를 깔끔하게 넘길 수 있는 물리적 보험이 됩니다.
이러한 '진입 차단'과 '밀어 올리기' 전략을 평소에 한 두번 연습해 보고 비상 대비책을 마련해 둔다면, 우리는 15분 이상의 귀중한 시간을 벌어 안전하게 다음 목적지까지 이동하거나 상황을 정리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